3·3 마이크로폰의 부가 장치
고급 마이크로폰(이하 마이크)나 정교하게 설계된 마이크 자체에는 여러 가지 컨트롤이 부가되어 있다.
(1) 저음 컷(Low cut) 스위치
이것은 주파수 특성상 저음역을 감쇠시키는 것으로서, 전환 표시로 M, V 등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M은 Music, 즉 음악 녹음 시에 저음역을 플랫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고 V는 Voice, 즉 인성을 수음할 때 적합한 스위치 포지션이다. 이 M과 V는 그 감쇠량에 대응해 M1, M2, V1, V2 등 몇 가지 세밀한 단계로 나눈 것도 있다.
인성의 경우는 저음역을 감소시키는 편이 명료도를 높이기에 좋지만, 여자 음성에는 저음역이 그다지 필요하지 않다. 또한 아나운스나 대사류, 회화 등은 음원이 레벨이 극단적으로 낮다.
이때 홀이나 회의장의 공조 장치로 인한 지속적인 저음의 잡음이 방해가 된다. 또 경음악의 보컬을 수음할 때에는 마이크로폰에 너무 가까이 가서 저음역을 포함한 숨소리가 직접 마이크 유닛에 부딪혀 이른바 '팝핑(Poping), 시빌란스(Sibilance)'라고 하는 잡음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V로 전환, 저음역을 억제하여 사용하면 대단히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하우링을 일으키기 쉬운 극장 음향의 경우 V 위치로 조정 함으로써 하우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마이크의 근접 효과라고 해서 음원이 유닛에 근접하면 저음역이 증강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도 저음 조정의 전환은 효과적이다. 그러나 이 저음 컷은 개개의 마이크로폰에 따라 감쇠 방법도 다르고 청감적인 음색 변화도 다르다. 따라서 반드시 모니터 스피커 시스템을 통해 M 플랫 상태와 V로 전환한 상태를 귀로 잘 구분해서 듣고 어느 것으로 할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
이 저음역 컷과는 달리 하이밴드의 고역을 커트할 수 있게 된 것도 있는데, 이것은 콘덴서 마이크로폰으로 인성을 수음할 때 시옷 소리가 강조되어 부자연스러워질 경우에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2) 출력 레벨의 전환
벨로시티 마이크로폰은 그 출력 레벨이 낮은 것이 통례이지만 콘덴서 마이크로폰은 소형의 앰프를 내장하고 있어, 그 출력 레벨을 마음대로 설계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다른 종류의 것에 비해 높다. 그러나 음원에 마이크를 근접시킴으로써 받는 고압 레벨이 극단적으로 높은 경우, 이 마이크에 연결되는 믹싱 앰프 등 컨트롤 시스템의 프리앰프에는 상당히 큰 레벨이 가해져 소리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벨로시티 마이크로폰을 병용해서 믹싱할 때는 레벨의 차가 너무 커져서 컨트롤하기 어려운도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고려해 마이크 앰프 내에 감쇠기를 조립해 넣은 것이 출력 레벨 전환으로서 -6dB, -8dB, -12dB 등으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이 전환 스위치는 마이크 본체에 들어 있는 것도 있고 콘덴서 마이크 AC 전원부에 세트 되어 있는 것도 있다.
전술한 저음 컷이나 출력 레벨 전환은 다음 장에서 기술하는 컨트롤 콘솔 측에 들어가 있는 것도 있는데, 특히 저음 컷은 콘솔의 이퀄라이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마이크 자체의 저음 컷과 콘솔의 이퀄라이징과는 음색을 결정하기에 각각 다른 면이 있다고 생각해야 한다. 또한 출력 레벨 전환도 음원 소리의 크기, 음원과의 거리, 콘솔 측의 허용 입력 등 이른바 레벨 세트라는 것을 잘 생각한 후 마이크에 가장 적합한 포지션으로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
(3) 지향성 전환
이것은 가변 지향성 마이크의 지향성 전환 스위치로서, 구조상 기계적인 작용으로 전환하게 되어 있는 것은 마이크 유닛에 세트되어 있다.
또한 AC 전원의 콘덴서 마이크로 전기회로를 사용하여 전환하는 구조는 전원 유닛에 세트되어 있다. 벨로시티 마이크로 폰 RCA제의 77D, 콘덴서 마이크 소니의 C-38B 등은 음향 상자에 의한 기계적인 전환 설계로 되어 있으므로, 스위치 동작도 딱딱하고 대단히 섬세하여 전환 조작에 특히 신중을 기해야 한다.
(4) 윈드 스크린(팝필터)
이것은 부가 장치 이지만 전술한 저음 컷이나 지향성 전환과는 성질을 달리 하며, 마이크 유닛에 직접 바람이 닿지 않도록 하는 캡 형상이다. 이는 금속망 모양을 하고 있지만 폴리우레탄 등을 유닛 외측에 씌우게 되어 있고 제거도 자유로운 것이 많다. 야외 녹음이나 대중음악의 보컬과 같이 바람이 직접 유닛에 닿는 음악을 수음할 때 효과가 있으며 저음 컷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팝핑, 시빌란스' 등의 잡음 발생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어쨌든 마이크로폰의 음향적인 방패 틀 작용을 하여 고음역이 다소나마 감쇠하는 일도 있기 때문에 남용을 피하고 가능한 한 사용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특히 암소음(暗騷音)이 적은 스튜디오나 홀에서 악기음을 수음할 때는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음악별 > 음향이론 : 레코딩 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5 마이크로폰 커넥터 (0) | 2022.08.16 |
---|---|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4 마이크로폰의 출력 (0) | 2022.08.14 |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2 마이크로폰의 종류와 특성 (3~4) (0) | 2022.08.13 |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2 마이크로폰의 종류와 특성 (1~2) (0) | 2022.08.12 |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1 중계·녹음기기의 개요 (0) | 2022.08.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