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음악별23 [4] 믹싱 컨트롤 장치와 모니터 시스템 1 컨트롤 시스템은 마이크로폰에 의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된 신호를 도입, 이것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컨트롤하여 하나로 정리된 프로그램으로 종합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보통은 믹싱 콘솔이라고 불리는 기기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보통은 믹싱 콘솔이라고 불리는 기기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믹싱 콘솔에는 그 목적과 설계에 따라 여러가지 종류가 있지만 이것을 우선 목적별로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1) 생방송이나 PA(SR)와 같은 리얼타임 믹싱용 (2) 멀티트랙 녹음의 오리지널 레코딩용 (3) 멀티트랙 녹음의 트랙다운 작업이나 비디오 프로그램의 MA 작업용, 그리고 각각의 목적에 따라 특수 사양으로 설계된 것도 있지만 그 기본적인 구조나 기능에 그다지 큰 차이는 없다. 컨트롤 기능은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분류된다.. 2022. 9. 7.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7 특수 마이크로폰 (9~12) 3·7 특수 마이크로폰 (9~12) (9) 초지향성 마이크로폰 초지향성 마이크로폰이라는 것은 단일 지향성보다 지향성을 더 예민하게 한 것이다. 보통 이런 종류의 마이크로폰은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 끝에 음향관을 부탁한 것이 많다. 따라서, 마이크로폰 본체가 꽤 길어진다. 이 음향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음파를 끌어들이는 슬릿(Slit)이 뚫려 있다. 마이크로폰 정면에서 들어가는 소리는 정면의 소리와 각 슬릿에서 들어가는 소리가 동위상이기 때문에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 유닛에 소리가 도달된다. 그러나 경사 방향에서의 소리는 각 슬릿에서 들어가는 소리끼리 위상 차 관계로 상쇄하여 마이크로폰 유닛에 가해지는 음압이 줄어든다. 따라서 정면 방향만의 예민한 지향성이 얻어지는 이러한 종류를 라인 마이크로폰이라고도 부.. 2022. 9. 2.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7 특수 마이크로폰 (5~8) 3·7 특수 마이크로폰 (5~8) (5) 바운더리 레이어 마이크로폰(Boundary Layer Microphone) 일명 프레셔 존(pressure zone) 마이크로폰이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비교적 소형 마이크로폰 유닛을 평판 위에 설치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벽면이나 바닥면에 직접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눈에 띄지 않게 마이크로폰을 세팅할 수 있다. 따라서 오페라나 연극과 같은 무대음의 수음에, 데스크 위에 놓고 하는 좌담회의 녹음에 또는 텔레비전 프로의 숨겨진 마이크로폰으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마이크로폰 스탠드에 세운 마이크로폰에는 음원의 직접음과 바닥에서 오는 반사음이 도달하게 되는데, 그 양자의 위상 차는 매우 불규칙하다. 그러나 무한대 배플(baffle)을 상정하고 마이크로폰을 .. 2022. 9. 2.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7 특수 마이크로폰 (2~4) 3·7 특수 마이크로폰 (2) 복합형 마이크로폰 복합형 마이크로폰(이하 마이크)은 동축 상에 2개의 마이크 유닛을 세트한 것으로서 스테레오포닉 녹음의 원포인트 마이크 어레인지먼트에 사용하는 것이다. 동축 상이기 때문에 이것을 코인시던트(coinsident) 마이크라고도 부른다. 이와 달리 동축이 아닌 2채널 스테레오의 경우 특성이 같은 2개의 마이크에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수음하는 방법을 스페이스드(Spaced) 마이크라고 부른다. 동축 복합형 마이크의 경우, 전문용은 보통 2개의 유닛 중 1개가 중심축에서 몇도 정도는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또 양쪽 유닛이 가변 지향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 많다. 스테레오 수음의 경우 WY방식, MS방식의 두 종류로의 사용을 생각할 수 있다. (3) 초소형 마이.. 2022. 8. 24.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7 특수 마이크로폰 (1) 3·7 특수 마이크로폰 (1) 와이어리스(무선) 마이크로폰 와이어리스 마이크로폰과 전파 : 보통 케이블이 달린 유선 마이크로폰(이하 마이크)에 비해 케이블이 달려있지 않은 와이어리스 마이크로폰은 종래 유선 마이크로폰의 보조 정도로 밖에 사용되지 못했지만, 최근에는 프로그램 연출상의 필요에 의해서 방송이나 무대에서 오히려 메인 마이크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 와이어리스 마이크로폰은 전파를 송·수신하여 매체로 사용하므로 안정성이 떨어지거나 다이내믹 레인지에 제약이 있다는 어려움이 있다. 와이어리스 마이크는 마이크 헤드를 가진 소형 송신기에서 전파를 발사하여 수신 안테나를 거쳐 수신기로 보내져 오디오 신호를 얻는다. 따라서 일종의 무선국이라고 생각되면 전파법의 규제를 받을 수도 있다. 와이.. 2022. 8. 21.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6 마이크로폰 지지 방법 (2~3) 3·6 마이크로폰 지지 방법 (2) 끈 종류로 매다는 방법(Hanging microphone, Suspension microphone) 극장이나 교회당과 같은 천장이 높고 넓은 공간에 마이크로폰(이하 마이크)을 세트 하거나 콘서트 무대 위에 마이크 스탠드를 세울 수 없는 경우 사용하는 방법이다. 상당히 높은 위체에도 마이크를 세트 할 수 있다는 것과 마이크가 눈에 띄지 않으므로 보기에 좋고 바닥과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아 매달은 끈이 진동을 흡수하기 때문에 외부 잡음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 등이 장점이다. 그러나 기동성이 없고 마이크 세팅에 시간이 걸리며 재빨리 마이크를 움직이거나 세밀하게 마이크 위치나 방향을 바꾸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1점 서스펜션 .. 2022. 8. 18.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