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3·1 중계·녹음기기의 개요
방송 프로를 중계하거나 녹음하여 극장 음향을 서비스하는 경우에는 여러 가지 기자재가 필요하다. 그리고 2·1절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이들 믹싱 컨트롤의 프로세스와 작업은 음원에서 발생한 소리의 진동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고 또 목적에 따라 다른 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 중계·녹음기기는 마이크로폰(이하 마이크), 컨트롤 시스템, 목적대상 기기의 세 가지로 구성된다.
- 마이크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소리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중계·녹음에 있어서 에너지 변환의 출발점이다. 따라서, 이 제1변환의 결과가 뒤의 프로세스 전체 흐름에 영향을 주는 것이므로 대단히 중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컨트롤 시스템은 마이크에 의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된 것을 컨트롤하는 프로세스로서, 거의 전부가 전기 에너지 형태로 처리된다. 구체적으로는 믹싱 콘솔을 비롯한 각종 증폭기, 감쇠기, 이퀄라이저류, 잔향 부가장치 등으로 구성되는데, 최근에는 상당히 섬세한 음질 변화를 요하는 것이 많아 점점 복잡해지고 있다. 또한 설계 내용은 방송, 레코드 녹음, 영화, 극장 음향 등 그 목적과 각 현장의 환경에 따라 다소 다른 점이 있지만 기본적인 사고방식에는 큰 차이가 없다고 봐야 한다.
- 목적대상 기기라는 것은 믹싱 현장에서 최종적인 목적대상으로 사용하는 기기류를 의미하는데 목적이 다른 만큼 에너지의 형태도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녹음기, 중계장치, 송신기, 극장 음향 장치 등을 들 수 있는데, 모두 컨트롤 시스템과 달리 전기 에너지에서 기타 다른 에너지로 변환되는 것도 있어서 성능 면에서나 여러 특성에 있어서 상당히 주의해야 한다.
녹음기는 각 특징에 따라 자기 녹음(레코드, 방송, 영화), 광학 녹음(영화), 원판 녹음(레코드) 등으로 분류된다. 그리고 극장 음향의 경우 특수한 것을 제외하고 컨트롤 시스템에서 종합된 것이 재차 소리 에너지로 직접 변환되어 재현된 것이니 만큼 다른 현장과는 다르며 또한 수음과 재생이 동시에, 동일 공간에서 행해진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목적대상 기기의 경우 중계·녹음기기 전체의 프로세스에서 보면 마이크나 컨트롤 시스템과 달리 목적 형태나 각각의 현장에 따라 상당한 차이점을 보인다.
반응형
'음악별 > 음향이론 : 레코딩 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2 마이크로폰의 종류와 특성 (3~4) (0) | 2022.08.13 |
---|---|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2 마이크로폰의 종류와 특성 (1~2) (0) | 2022.08.12 |
[2] 수음과 녹음의 기초 / 2·3 스테레오 수음에서 재생까지 (0) | 2022.08.10 |
[2] 수음과 녹음의 기초 / 2·2 음원과 음장 (7) (0) | 2022.08.10 |
[2] 수음과 녹음의 기초 / 2·2 음원과 음장 (6) (0) | 2022.08.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