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마이크로폰 지지 방법
(2) 끈 종류로 매다는 방법(Hanging microphone, Suspension microphone)
극장이나 교회당과 같은 천장이 높고 넓은 공간에 마이크로폰(이하 마이크)을 세트 하거나 콘서트 무대 위에 마이크 스탠드를 세울 수 없는 경우 사용하는 방법이다. 상당히 높은 위체에도 마이크를 세트 할 수 있다는 것과 마이크가 눈에 띄지 않으므로 보기에 좋고 바닥과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아 매달은 끈이 진동을 흡수하기 때문에 외부 잡음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 등이 장점이다.
그러나 기동성이 없고 마이크 세팅에 시간이 걸리며 재빨리 마이크를 움직이거나 세밀하게 마이크 위치나 방향을 바꾸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1> 1점 서스펜션 : 이것은 1개의 끈으로 매다는 방법으로서, 당연히 수직으로 매달아야 한다. 이 방법은 끈 자체가 끈의 축을 중심으로 빙글빙글 도는 일도 있고, 홀의 경우 홀 내 바람의 움직임에 의해 전후 좌우로 움직이는 일도 있다. 따라서 단일지향성, 쌍지향성 등 지향성이 있는 마이크를 사용하는 경우 음원에 대해 원하는 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고정할 수 없기 때문에, 무지향성 마이크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또 이 경우에도 마이크 자체가 가벼우면 움직이기 쉬우므로 추를 달아 어느 정도 중량을 갖게 하는 것도 좋다.
<2> 2점 서스펜션 : 이것은 2개의 끈을 사용하여 매다는 방법으로서, 1점 서스펜션에 비해 안정성이 있다. 그러나 2개의 끈으로 만들어지는 면의 전후에 대해서는 약간 불안정하다. 특히 끈의 길이가 길어지면 이러한 경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3> 3점 서스펜션 : 이것은 3개의 끈을 사용하여 매다는 방법인데, 3방향에서 고정하는 만큼 가장 안정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고정하는 3개 포인트 위치에 따라 각각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마이크 음원에 대한 각도를 바꿀 수 있다.
보통 3개 중 1개를 수직으로 내리고 다른 2개를 무대 등 음원과 반대 방향으로 당기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지만 3개의 끈을 정삼각형을 그리는 포인트에 고정시키는 방법도 사용된다. 어쨌든 이 3점 서스펜션은 역학적으로 봐도 가장 안정되고 확실한 방법이다.
마이크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마이크 케이블은 물체를 지지하기에는 너무 약하여 케이블 내에서 단선되거나 커넥터에서 접촉 불량을 일으키므로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끈을 마이크 고정 나사에 연결하거나, 마이크 콘센트 가까이에 끈을 1개 연결하고 이 끈에 케이블을 고정하여, 약간 느슨하게 평행시킴으로써 가능한 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마이크 자체가 가벼우면 끈이 쳐져 불안정해질 수도 있으므로 추 같은 것을 마이크 설치 폴더에 달아놓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그러나 케이블이 길어지면 마이크 케이블이나 끈의 무게도 상당히 나가게 되므로 매달아 보고 여러 각도에서 균형을 체크하는 것이 좋다.
최근 극장이나 콘서트 홀에는 그 행사장의 설비로서 마이크 '서스펜션 장치'가 세트 되어 있는 곳도 있다. 전동식으로 되어 있어 녹음실에서 리모트 컨트롤로 자유롭게 위치를 변경시킬 수도 있다.
끈의 조건은 튼튼할 것, 유연할 것, 무겁지 않을 것, 신축성이 없을 것, 눈에 띄지 않을 것 등이며, 금속은 피하고 보통 면이나 마로 된 것을 사용한다. 백색은 조명이 밝아지면 반사해서 눈에 띌 우려가 있으므로 흑색이나 회색으로 염색하는 것이 좋다. 또, 튼튼한 재료라도 너무 가늘면 길어진 경우에는 엉켜서 다루기가 어렵다.
요즘에는 수직에 사용하는 중심 끈을 제외하면 후방으로 끄는 2개의 끈으로 낚시할 때 사용하는 명주실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가늘고 가벼우며 튼튼하여 거의 눈에 띄지 않고 매달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다소 신축성이 있고 단면 방향에 약하여 절단될 우려도 있으므로 고정할 때 주의해야 한다.
(3)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방법
이것은 막대 모양의 마이크를 직접 손으로 쥐고 사용하는 방법을 말하는데, 대중 음악의 핸드 마이크로 또는 인터뷰 시에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마이크 자체가 어느 정도 가벼워야 한다.
핸드 마이크의 경우 케이블을 세게 당기거나 사용중에 다시 쥐거나 하면 이른바 터치 노이즈로 인한 잡음이 발생하므로 그 취급에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핸드 마이크는 이것을 사용하는 가수나 대화자의 능숙함이 요구되며, 이 능숙함에 따라 잡음 발생 유무가 크게 좌우된다. 또한 지향성이나 주위의 잡음 정도, 발성 방법에 따른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핸드 마이크 전용인 마이크 내의 캡슐을 스프링 등으로 띄워 터치 노이즈를 막아 이것들의 잡음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이 밖에 마이크의 특수한 지지 방법으로 초소형 마이크를 핀으로 고정하는 방법과 접화 마이크를 헤드폰과 함께 머리에 걸고 사용하는 방법 등도 있다.
'음악별 > 음향이론 : 레코딩 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7 특수 마이크로폰 (2~4) (0) | 2022.08.24 |
---|---|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7 특수 마이크로폰 (1) (0) | 2022.08.21 |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6 마이크로폰 지지 방법 (1) (0) | 2022.08.17 |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5 마이크로폰 커넥터 (0) | 2022.08.16 |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4 마이크로폰의 출력 (0) | 2022.08.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