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 특수 마이크로폰
(2) 복합형 마이크로폰
복합형 마이크로폰(이하 마이크)은 동축 상에 2개의 마이크 유닛을 세트한 것으로서 스테레오포닉 녹음의 원포인트 마이크 어레인지먼트에 사용하는 것이다. 동축 상이기 때문에 이것을 코인시던트(coinsident) 마이크라고도 부른다. 이와 달리 동축이 아닌 2채널 스테레오의 경우 특성이 같은 2개의 마이크에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수음하는 방법을 스페이스드(Spaced) 마이크라고 부른다.
동축 복합형 마이크의 경우, 전문용은 보통 2개의 유닛 중 1개가 중심축에서 몇도 정도는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또 양쪽 유닛이 가변 지향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 많다. 스테레오 수음의 경우 WY방식, MS방식의 두 종류로의 사용을 생각할 수 있다.
(3) 초소형 마이크
초소형 마이크는 본체가 새끼손까락 끝 정도록 작게 만들어진 마이크로, 옷깃 부근에 달아 스피치의 수음에 사용하므로 라펠(Lapel) 마이크라고 하거나, 넥타이 핀과 같이 부착하여 핀(Pin) 마이크라고 하기도 한다. 최근의 제품은 음향 변환 부분의 진동판을 세로 방향으로 사용하는 등, 개량을 통해 작아지고 음질도 개선되었으며 팝핑, 시빌란스에도 강해졌다. 그러나 스피치 수음이 목표이고, 저음 감도를 약하게 하거나 소리의 불분명함을 없애기 위해 음질 보정을 하고 있기 때문에 주파수 특성이 반드시 평탄하지만은 않다. 그러나 소형이어서 눈에 띄지 않으므로 화면이 있는 텔레비전 뉴스나 인터뷰 프로 등에 애용되고 있다. 그리고 와이어리스 마이크와 조합하여 움직임이 많은 스피치 프로에도 많이 사용된다.
(4) 구형(球形) 스테레오포닉 마이크
볼 바운더리 마이크라고도 불려지는 것으로서, 1991년에 독일 숍스사에 의해 개발된 일체형 스테레오 마이크이다. 20cm 지름의 볼 좌우에 무지향성 유닛을 바깥쪽을 향해 삽입한 구조이다. 일종의 스페이스드 방식에 의한 일체화된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이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양 채널의 시간차와 스펙터 차를 응용해서 설계되어 있다. 2개의 마이크 사이에 차폐판을 둔 잭클링판(Jeckling) 방식과, 사람 머리 모양이며 귀에 해당하는 곳에 마이크로폰을 삽입한 바이노럴 마이크와는 또 다른 것이다. 수음 각도는 90도인데, 거리를 음원에서 약간 떨어뜨려 세트업 하는 클래식 음악의 원포인트 녹음에 사용하는 등 그 응용범위도 넓다. 정면의 팬텀 전원에 의해 적색으로 점등하는 LED가 삽입되어 있고, 수m 떨어져 있어도 정면 축을 바르게 세트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볼 바깥쪽은 완전 반사면이 아니며, 플라스틱제로서 넥스텔로 도장되어 있고 중량은 1.5kg이며 매다는 마이크로 사용할 수 도 있다.
무대에서 오케스트라 등의 수음을 할 때, 좋은 위치에 세트하면 뚜렷한 사운드로 독특하고 자연스러운 스테레오 공간의 녹음·재생도 가능하다. 제품으로는 숍스의 KFU-6U가 있다.
'음악별 > 음향이론 : 레코딩 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7 특수 마이크로폰 (9~12) (0) | 2022.09.02 |
---|---|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7 특수 마이크로폰 (5~8) (0) | 2022.09.02 |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7 특수 마이크로폰 (1) (0) | 2022.08.21 |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6 마이크로폰 지지 방법 (2~3) (0) | 2022.08.18 |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6 마이크로폰 지지 방법 (1) (0) | 2022.08.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