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별/음향이론 : 레코딩 기법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7 특수 마이크로폰 (9~12)

by 생각별 2022. 9. 2.
반응형

3·7 특수 마이크로폰 (9~12)

 

(9) 초지향성 마이크로폰

초지향성 마이크로폰이라는 것은 단일 지향성보다 지향성을 더 예민하게 한 것이다. 보통 이런 종류의 마이크로폰은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 끝에 음향관을 부탁한 것이 많다. 따라서, 마이크로폰 본체가 꽤 길어진다. 이 음향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음파를 끌어들이는 슬릿(Slit)이 뚫려 있다. 마이크로폰 정면에서 들어가는 소리는 정면의 소리와 각 슬릿에서 들어가는 소리가 동위상이기 때문에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 유닛에 소리가 도달된다. 그러나 경사 방향에서의 소리는 각 슬릿에서 들어가는 소리끼리 위상 차 관계로 상쇄하여 마이크로폰 유닛에 가해지는 음압이 줄어든다. 따라서 정면 방향만의 예민한 지향성이 얻어지는 이러한 종류를 라인 마이크로폰이라고도 부른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소리의 파장이 관 길이보다 길어지는 저음역에서는 지향성이 잘 듣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보통의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한마디로 지향성이라 하더라도 렌즈의 줌 효과와 같이 한 방향에만 감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 즉, 이러한 종류는 정면 방향의 소리가 정면 이외의 소리보다 감도가 높은 것에 불과하고 정면 이외 방향의 소리를 완전히 차단해 버리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카메라 촬영 시 카메라 가까운 곳에 마이크로폰을 놓고 수음할 경우에는 가로 방향에서 오는 카메라 잡음에도 주의해야 한다.

이 초지향성 마이크로폰에는 마이크로폰 유닛에 콘덴서 타입과 무빙 코일 타입 모두가사용되는데 출력은 상대적으로 약간 낮아진다. 또한 음향관이 길고 슬릿이 가로 방향으로도 달려 있기 때문에 바람의 영향을 받기 쉬워 야외에서 사용할 때는 특히 주의해야 한다. 설계 시 지향성을 날카롭게 하는 것에 중점을 두어서인지 음질은 주파수 특성상 다소 희생되고 있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특히 음질에 중점을 두는 음악의 수음에는 적합하지 않다.

 

보통 스튜디오에서는 붐 스탠드에 설치하여 영화나 텔레비전 프로 등 움직임이 있는 대사 수음에 사용하기도 하고 야외에서 하는 원거리 음원 수음에도 사용한다. 야외의 경우,손으로 잡는 이른바 건(총) 마이크로폰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약간 무겁고 길어서 취급이 쉽지는 않다. 따라서 가능한 한 스탠드 위에 세트 하거나 받침대에 세트 해서 사용할 것을 권한다.

초지향성 마이크로폰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무빙 코일 타입이 있다. 미국 일렉트로보이스사제품인 EV-642형, 내셔널 WM-900N형, 콘덴서 타입으로서 독일 젠하이저사 제품인 MKH815형 등이 있다.

 

(10) 접화 마이크로폰

접화 마이크로폰은 마이크로폰 주위에 다소소음이 많더라도 이야기하는 사람의 소리를 명료하게 수음할 수 있도록 제작된 특수한 마이크로폰이다. 주로 방송용으로 사용되며, 근접해서 설치되어 있는 방송석의 스포츠 중계나 헬리콥터 내라든가 공장 내와 같이 소음이 심한 곳에서 도 내용을 확실하게 포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런 종류의 소음이 심한 음장에서 사람 목소리처럼 레벨이 낮은 소리를 정확히 픽업하기 위해서는 소리가 나오는 입 가까이에 세트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다. 접화 마이크로폰의 경우도 소형 경량의 유닛을 사용하는데, 이것을 헤드폰이나 모자 등에 함께 부착한 이른바 두재형(頭載形)이 많다.

여러 특성들은 사람 목소리를 인포메이션으로 하여 명확하게 픽업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음악 녹음용 마이크로폰과 같은 우수한 특성까지는 기대할 수 없다. 약 3~4cm 정도 떨어져 명료도 있는 사람 목소리를 수음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많으며, 이것도 입의 정면이 아닌 약간 경사 방향으로 세트 하기 때문에 고음 성분을 보충하기 위해 2~8kHz 범위 내에서 1kHz에 대해 3~4dB 강조시킨 주파수 특성을 지니는 것도 있다. 또한 저음역은 50 Hz 이하를 급격하게 감쇠시킨다.

마이크로폰 입부분의 세팅은 입 중심선에서 4~5cm 정도 옆으로 하고, 높이는 코와 입중간 정도가 좋으며 입에 너무 가까이 대면 부자연스러운 소리가 나기 쉽다. 보통 코와 입양 쪽에서 나오는 목소리를 혼합시킨 소리가 가장 자연스럽다. 어쨌든 이 접화 마이크로폰은 두재형이므로 익숙하지 않으면 사용하기 불편하며 특수한 음장 환경을 제외하고 무리하게 사용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이 접화 마이크로폰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산켄의 CL-201, CL-202 등이 있으며 올림픽 프로그램 중계방송 등에 사용하고 있다.

(11)수중 마이크로폰
수중 마이크로폰은 일반 마이크로폰과 달리 공기 중의 진동이 아닌 액체의 진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 구조가 일반 마이크로폰과는 전혀 다르며 여러 가지 조건상 압전형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압전형이라도 일반 마이크로폰에 사용되는 로셀염(rochelle sal)은 방수상의 문제로 사용할 수 없고 티탄산바륨 등이 변환소자로 사용되고 있다. 또, 일반 공기 중의 마이크는 직접 진동체가 공기에 노출되고 있지만 수중 마이크로폰의 경우 고무나 유기 플라스틱계 재료, 기름 등이 도중의 진동 매체로서 사용된다.

최근에는 어군 탐지 등 수산용으로서 또는 군사용을 목적으로 여러 가지 연구 개발이 진행되며 다양하게 만들어지고 있지만 오디오용으로는 주파수 특성상 100~50kHz 정도가 사용된다.

수중 수음은 음속이 공기중보다 약 4배 빠르고, 깊어지면 수압이 세어지므로 소리가 바뀔 수도 있다. 또한 수중의 고유 잡음이 공기 중보다 약 20dB 높기 때문에 그 독특한 잡음이 귀에 들리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수음 후는 이퀄라이저를 사용하여 듣기 좋은 소리로 보정하는 것이 좋다. 또, 바닷속에서는 소금의 방해를 받기 쉬우므로 사용 후는 깨끗이 세척해야 한다.

수중 마이크로폰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오끼전기제인 57-TA형 등이 있다.

 

(12) 집음(集音) 마이크로폰 장치
이것은 마이크로폰 자체가 아닌 부속 시스템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냄비 모양을 하고 있다. 이 냄비 모양 내면이 포물면 형상을 하고 있어, 먼 곳에서 나는 소리가 이 포물면에 반사되어 그 초점에 있는 마이크로폰에 모이는 것이다. 야구 중계 시의 캐처 글러브 소리, 배트로 공을 치는 소리 등을 픽업하거나 산새 소리 같은 것을 녹음할 때 사용한다. 먼 거리에 있는 음원 픽업에 효과가 있으며 그 거리는 20~30m에 이른다.

포물면의 구경은 클수록 좋고 소형은 바람막이 정도의역할을 할 뿐, 소리를 모으는 효과는 그다지 기대할 수 없다. 간단하게 양산을 하는 방법이 있는데 대형일 경우에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다. 마이크로폰은 단일 지향성보다 무지향성이 효과적이다.

초지향성 마이크로폰과 집음 마이크로폰 장치는 근본적으로 원리나 사용법이 다른 것으로, 이 집음 마이크로폰 장치는 야외나 체육관 등 넓은 공간의 음장에서 효과적이다.초지향성 마이크로폰은 많은 소리 중에서 특정한 소리만을 포착하고 싶은 경우에 사용하며, 바람의 영향을 받기 쉽기 때문에 야외에서 사용할 때에는 바람의 방향을 잘 생각하고 세트 해야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