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8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5 마이크로폰 커넥터 3·5 마이크로폰 커넥터 마이크로폰(이하 마이크) 커넥터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모두 규격이 정해져 있다. 일반 아마추어용에는 불평형형도 있는데, 불평형형의 경우 미니 플러그, 싱글 폰 플러그 등이 사용된다. 2개의 캡슐을 조합한 복합 스테레오 마이크에는 더블 폰 플러그가 사용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커넥터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지만 보통 원형, 각형, 동축, 프린트 기판용 등 4종류로 분류된다. 커넥터는 보통 2개의 부분을 조합해서 사용하는데 케이블에 접하는 부분과 기구에 접속하는 부분으로 크게 구별할 수 있다. 마이크 커넥터에는 원래 몇 가지가 사용되어 왔지만 현재는 주로 원형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캐논 커넥터는 접속 핀이 나와 있는 쪽을 수영, 핀을 받는 쪽을 암형이라고 부르는데 마이크 출력 .. 2022. 8. 16.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4 마이크로폰의 출력 3·4 마이크로폰의 출력 (1) 출력 레벨 마이크로폰(이하 마이크)의 출력 레벨은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콘덴서 타입과 같이 마이크 본체에 앰프를 내장하고 있는 것은 얼마든지 그 레벨을 올릴 수가 있기 때문에 -50~-60dBm과 같이 비교적 높은 것이 많다. 이에 비해 벨로시티 타입은 -70~-60dBm으로 비교적 낮은 값이다. 또한 무빙 코일 타입은 이 양자의 거의 중간값을 나타낸다고 보면 된다. 여하튼 이들 마이크 출력을 믹싱 하여 조정하려면 볼륨 컨트롤의 눈금 위치가 대략 같은 곳에 있도록 하는 것이 좋고 패드를 삽입하여 SN비등을 가미한 후 정합할 필요가 있다. 물론 이것은 단순히 마이크의 전기적 출력 레벨만이 아니라 음원 자체의 발음 레벨, 음원과 마이크로폰과의 거리에 따라서도 달라지는 것이다.. 2022. 8. 14.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3 마이크로폰의 부가 장치 3·3 마이크로폰의 부가 장치 고급 마이크로폰(이하 마이크)나 정교하게 설계된 마이크 자체에는 여러 가지 컨트롤이 부가되어 있다. (1) 저음 컷(Low cut) 스위치 이것은 주파수 특성상 저음역을 감쇠시키는 것으로서, 전환 표시로 M, V 등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M은 Music, 즉 음악 녹음 시에 저음역을 플랫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고 V는 Voice, 즉 인성을 수음할 때 적합한 스위치 포지션이다. 이 M과 V는 그 감쇠량에 대응해 M1, M2, V1, V2 등 몇 가지 세밀한 단계로 나눈 것도 있다. 인성의 경우는 저음역을 감소시키는 편이 명료도를 높이기에 좋지만, 여자 음성에는 저음역이 그다지 필요하지 않다. 또한 아나운스나 대사류, 회화 등은 음원이 레벨이 극단적으로 낮다. 이때 홀이나 .. 2022. 8. 13.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2 마이크로폰의 종류와 특성 (3~4) 3·2 마이크로폰의 종류와 특성 (3) 그 밖의 마이크로폰(이하 마이크) 현재 전문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마이크의 주류는 이상과 같이 무빙 코일 타입과 콘덴서 타입이지만 그밖에 벨로시티 타입 마이크가 있다. 벨로시티 타입 마이크는 가는 리본 형상의 금속 조각이 진동하기 때문에 리본 마이크로폰이라고도 불려지고 있다. 상당히 섬세한 마이크로폰으로서 진동을 주거나 난폭하게 취급하면 주름 형상으로 부착되어 있는 알루미늄제의 리본이 늘어져 특성이 나빠지는 수도 있으므로 취급에 주의해야 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강력한 영구 자석이 사용되고 있어 무거워지고 누설 자속의 양도 많다. 감도가 낮다는 것도 결점이지만 음질은 독특하다. 주파수 특성은 특별히 좋다고는 할 수 없지만 소리에 따뜻함이 묻어나며, 특히 아나운서의 인.. 2022. 8. 13.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2 마이크로폰의 종류와 특성 (1~2) 3·2 마이크로폰의 종류와 특성 마이크로폰(이하 마이크)은 소리의 진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일정의 트랜스듀서(Transducer)이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마이크에는 다음과 같은 두 종류가 있다. (1) 무빙 코일(Moving coil) 타입 일명, 다이내믹(Dynamic) 마이크라고도 불리는데, 자계(磁界) 내에서 진동하는 코일의 작동으로 전기 에너지를 유기시키는 것이다. 원리상으로 보면 거의 다이나믹 스피커와 반대로 에너지 변환을 한다. 장점은 튼튼하고 동작이 상당히 안정되어 있다는 것이다. 또한 마이크 자체에 발전기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원도 필요 없고 그대로 연결하기만 하면 동작하여 취급도 간단하며, 기동성이 좋고 비교적 값싸게 제조할 수 있다는 점 등이 다른 마이크.. 2022. 8. 12.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1 중계·녹음기기의 개요 3·1 중계·녹음기기의 개요 방송 프로를 중계하거나 녹음하여 극장 음향을 서비스하는 경우에는 여러 가지 기자재가 필요하다. 그리고 2·1절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이들 믹싱 컨트롤의 프로세스와 작업은 음원에서 발생한 소리의 진동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고 또 목적에 따라 다른 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 중계·녹음기기는 마이크로폰(이하 마이크), 컨트롤 시스템, 목적대상 기기의 세 가지로 구성된다. 마이크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소리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중계·녹음에 있어서 에너지 변환의 출발점이다. 따라서, 이 제1변환의 결과가 뒤의 프로세스 전체 흐름에 영향을 주는 것이므로 대단히 중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컨트롤 시스템은 마이크에 의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된 것을 컨트롤하.. 2022. 8. 12.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