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별/음향이론 : 레코딩 기법

[2] 수음과 녹음의 기초 / 2·2 음원과 음장 (1~2)

by 생각별 2022. 8. 7.
반응형

2·2 음원과 음장

 

소리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화하는 수음에 있어서는 다음 세 가지 조건, 즉 (1) 음원, (2) 음장 (3) 수음에 대해 생각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음악 프로그램을 수음하는 경우, 우선 악기에 따른 음원이 필요하다. 그리고 음원의 음이라는 것은 그것을 둘러싼 음장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즉 음원이 있고 그것을 둘러싼 공간이 있어야 비로소 수음을 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세트업이 시작되는 것이다. 이러한 생각 없이 마이크로폰을 그냥 세트 하면 좋은 녹음이나 소리가 좋은 중계를 할 수 없게 되므로, 보다 좋은 수음을 하기 위해, 우선 음원의 성질이나 공간의 조건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

 

(1) 음원이란

수음하는 입장에서 보면 음원은 다음 세 가지로 분류된다. / (1) 음악소리, (2) 인성, (3) 현실음 / 음악 소리에는 주로 악기음이 사용되지만 현재의 새로운 음악에는 악기음 이외의 인성이나 현실음도 종종 사용되고 있다. 녹음이나 중계를 하는 경우, 우선 악기 소리의 성질에 대한 상세한 지식이 필요하며, 각 악기의 주파수 스펙트럼, 음량의 성질, 소리가 발생되는 지향 특성 등에 의해 마이크로폰 세트업의 요령도 달라진다.

 

인성을 수음하는 경우, 아나운스먼트나 낭독과 같은, 즉 내용을 전달하는 인포메이션에 대해서 특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음악의 경우에 음성은 노래와 같은 음원으로서 사용되는 경우도 물론 있지만, 여기서는 독립하여 의사를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음악에 사용되는 인성과는 발성 방법도 다르며 당연히 음량은 작아질 것이므로, 정확한 의사 전달을 위해 명료도에 특히 주의하여 수음해야 한다.

 

현실음이라는 것은 일상 생활을 둘러싼 모든 소리를 말하며, 다음 두 가지로 크게 구별할 수 있다. / (1) 자연음, (2) 기계음 / 자연음에는 천둥이나 폭포 등 자연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 새들이나 동물의 울음소리, 생활의 소리 같은 것이 있다. 그리고 기계음은 주로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것을 말하는데, 예를 들어 SL소리, 비행기 소리 등이 대표적인 것이다. 현실음은 단독으로 사용되는 일도 많지만 방송에서 드라마 등의 사운드 이펙트(SE)로서 사용되기도 하고, 뮈지크 콩크레트(구체음악)와 같은 음악의 소리로서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 현실음은 방송 드라마나 텔레비전 광고에서 자연음을 써야 하지만 여건이 안 되는 경우, 인공적인 수단으로 소리를 만들어 내어 이른바 의음(인공음)이라고 하는 전혀 새로운 소리로 만들어지기도 한다.

 

(2) 음장으로서의 스튜디오 공간

음원을 둘러싼 공간이라는 의미에서 본 음장은, 수음시 다음 세 가지로 크게 구별된다. / (1) 스튜디오, (2) 극장, (3) 야외 / 스튜디오 공간에는 방송 스튜디오나 레코드 녹음 스튜디오 등이 있으며, 외부와의 차음을 고려해야 한다. 보통 유리를 거쳐 조정실이 있으며 방송이나 녹음 작업을 진행할 때 기동성이 풍부한 설계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방송이나 레코드 녹음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 많으므로 조정대를 비롯한 컨트롤 기기도 대단히 복잡한 것까지 세트할 수 있으며, 설비에 무척 공을 들인 경우가 많다. 스튜디오의 크기는 아나운서 부스라고 하는 아주 작은 것부터 텔레비전 방송과 같은 큰 공간, 영화의 녹음 무대와 같은 거대한 것까지 여러 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