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 특수 마이크로폰 (5~8)
(5) 바운더리 레이어 마이크로폰(Boundary Layer Microphone)
일명 프레셔 존(pressure zone) 마이크로폰이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비교적 소형 마이크로폰 유닛을 평판 위에 설치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벽면이나 바닥면에 직접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눈에 띄지 않게 마이크로폰을 세팅할 수 있다. 따라서 오페라나 연극과 같은 무대음의 수음에, 데스크 위에 놓고 하는 좌담회의 녹음에 또는 텔레비전 프로의 숨겨진 마이크로폰으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마이크로폰 스탠드에 세운 마이크로폰에는 음원의 직접음과 바닥에서 오는 반사음이 도달하게 되는데, 그 양자의 위상 차는 매우 불규칙하다. 그러나 무한대 배플(baffle)을 상정하고 마이크로폰을 바닥에 가능한 한 근접시키면 직접음과 반사음이 동상이 되며 직접음과 반사음의 위상 상쇄의 영향이 줄어든다. 또한, 배플판에 의한 미러(mirror) 효과에 의해 그 출력 레벨은 2배가 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 마이크로폰을 사용하면 마이크로폰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위치의 소리라도 넓은 주파수 대역으로, 비교적 거리감 없는 음상을 잡을 수 있다.
마이크로폰 유닛과 배플판의 거리가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그 특성은 좋아진다. 또 배플판은 면적이 크면 클수록 저음역의 소리를 잡기 쉬워지며 흡음질보다 반사되기 쉬운 것이 수음에는 유리하다. 따라서 카펫 위 등에 세트 해야만 되는 경우에는 적어도 30cm 정도의 반사판을 거쳐 세트 하는 것이 좋다.
사용상 주의할 점은 우선 플로어에서 오는 진동을 직접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무대면에서는 무대 위의 동작으로 인한 진동으로 마이크로폰이 흔들리는 일이 없도록 하고, 눈에 띄지 않는 색 테이프로 단단히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무지향성 마이크로폰을 사용, 그 진동막을 반사면과 평행으로 상당히 가깝게 두는 프레셔 존 마이크로폰이라고 하는 암크론사의 PZM-30GP와 진동막을 음파가 오는 방향으로 개방 상태가 되도록 설치하는 바운더리 레이어(경계층) 마이크로폰이라는 숍스사의 BL-53Ug 등이 있다. 그리고 이 밖에, 진동막을 반사판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둔 슈어사의 SM-90, SM-91이 있으며, 이것을 서피스(surface) 마이크로폰이라고 구별해서 부르고 있다. SM-90은 유닛에는 무지향성을, SM-91에는 단일 지향성을 사용하고 있다.
단일 지향성 유닛을 사용한 같은 종류의 마이크로폰으로는 이 밖에 오디오 테크닉사의 유니플레이트 마이크로폰 AT-871이 있다. 무지향성 유닛을 사용한 마이크로폰이 반원형의 지향성이 있는데 반해, 단일 지향성 유닛을 사용한 마이크로폰은 단일 지향이 축을 포함하는 면에서 반으로 자른 모양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소리의 겹침이 줄고 각 악기 소리의 분리도 확실해지며 주변의 노이즈가 적은 수음도 할 수 있다.
(6) 2웨이 마이크로폰
콘덴서 마이크로폰은 고음 특성을 살리기 위해 진동 막의 장력을 올리거나 구경(口徑)을 작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저음 특성을 살리려면 반대로 장력을 약하게 하거나 구경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고음역, 저음역 각각에 전용 유닛을 사용하여 고감도, 광대역, 양호한 지향 특성을 목표로 설계된 것이 2웨이 마이크로폰이다.
스피커 시스템의 경우에 멀티웨이 시스템과 동일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각각의 유닛 출력은 개별 임피던스 변환 회로를 통과한 후 하이 패스 필터. 로 패스 필터를 거쳐 전기적으로 합성된다. 매우 순수한 소리가 나는 것이 특징이며, 대표적인 제품으로 산켄사의 CU-41 등이 있다.
(7) 사운드 필드 마이크로폰
영국 CALREC사에 의해 개발된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으로서, 4개의 마이크로폰 유닛이 하나의 케이스 내에 들어있다. 그 중 1개는 무지향성으로 전체 방향을, 나머지 3개의 유닛은 쌍지향성으로서 각각 정면인 X축, 횡방향인 Y축, 상하 방향인 Z축의 소리를 픽업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4개의 마이크로폰 출력을 매트리스 최로등을 조합한 독특한 컨트롤 시스템 (컨버터)을 통해 합성하면, 전면 2채널 스테레오에서 4채널 서라운드 스테레오까지 음장 공간이 자유롭게 구성된다.
이 이론을 응용하여 몇 개의 마이크로폰을 독자적으로 조합해서 세트하고, 사운드 필드 컨트롤 시스템을 통해 4채널 서라운드 스테레오 녹음을 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8) 방진 마이크로폰
대중 음악의 노래용 마이크로폰으로는 손으로 잡는 핸드 마이크로폰이 많이 사용된다. 이때 손을 바꾸거나 케이블과 마이크로폰 본체의 접촉 혹은 스탠드 장착 시 기계적 진동을 받기 쉬우며, 잡음이 자주 발생한다. 이 기계적인 진동에 의한 잡음을 줄이기 위해 마이크로폰의 헤드 캡슐을 방진 처리한 후 매달아 설치하도록 한 마이크로폰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마이크로폰은 방진 효과가 상당히 높으며 가수용으로서 뿐만 아니라 탁상용 마이크로폰으로도 사용되는 등 그 응용 범위가 넓다.
'음악별 > 음향이론 : 레코딩 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믹싱 컨트롤 장치와 모니터 시스템 1 (1) | 2022.09.07 |
---|---|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7 특수 마이크로폰 (9~12) (0) | 2022.09.02 |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7 특수 마이크로폰 (2~4) (0) | 2022.08.24 |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7 특수 마이크로폰 (1) (0) | 2022.08.21 |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6 마이크로폰 지지 방법 (2~3) (0) | 2022.08.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