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8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7 특수 마이크로폰 (2~4) 3·7 특수 마이크로폰 (2) 복합형 마이크로폰 복합형 마이크로폰(이하 마이크)은 동축 상에 2개의 마이크 유닛을 세트한 것으로서 스테레오포닉 녹음의 원포인트 마이크 어레인지먼트에 사용하는 것이다. 동축 상이기 때문에 이것을 코인시던트(coinsident) 마이크라고도 부른다. 이와 달리 동축이 아닌 2채널 스테레오의 경우 특성이 같은 2개의 마이크에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수음하는 방법을 스페이스드(Spaced) 마이크라고 부른다. 동축 복합형 마이크의 경우, 전문용은 보통 2개의 유닛 중 1개가 중심축에서 몇도 정도는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또 양쪽 유닛이 가변 지향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 많다. 스테레오 수음의 경우 WY방식, MS방식의 두 종류로의 사용을 생각할 수 있다. (3) 초소형 마이.. 2022. 8. 24.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7 특수 마이크로폰 (1) 3·7 특수 마이크로폰 (1) 와이어리스(무선) 마이크로폰 와이어리스 마이크로폰과 전파 : 보통 케이블이 달린 유선 마이크로폰(이하 마이크)에 비해 케이블이 달려있지 않은 와이어리스 마이크로폰은 종래 유선 마이크로폰의 보조 정도로 밖에 사용되지 못했지만, 최근에는 프로그램 연출상의 필요에 의해서 방송이나 무대에서 오히려 메인 마이크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 와이어리스 마이크로폰은 전파를 송·수신하여 매체로 사용하므로 안정성이 떨어지거나 다이내믹 레인지에 제약이 있다는 어려움이 있다. 와이어리스 마이크는 마이크 헤드를 가진 소형 송신기에서 전파를 발사하여 수신 안테나를 거쳐 수신기로 보내져 오디오 신호를 얻는다. 따라서 일종의 무선국이라고 생각되면 전파법의 규제를 받을 수도 있다. 와이.. 2022. 8. 21.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6 마이크로폰 지지 방법 (2~3) 3·6 마이크로폰 지지 방법 (2) 끈 종류로 매다는 방법(Hanging microphone, Suspension microphone) 극장이나 교회당과 같은 천장이 높고 넓은 공간에 마이크로폰(이하 마이크)을 세트 하거나 콘서트 무대 위에 마이크 스탠드를 세울 수 없는 경우 사용하는 방법이다. 상당히 높은 위체에도 마이크를 세트 할 수 있다는 것과 마이크가 눈에 띄지 않으므로 보기에 좋고 바닥과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아 매달은 끈이 진동을 흡수하기 때문에 외부 잡음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 등이 장점이다. 그러나 기동성이 없고 마이크 세팅에 시간이 걸리며 재빨리 마이크를 움직이거나 세밀하게 마이크 위치나 방향을 바꾸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1점 서스펜션 .. 2022. 8. 18.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6 마이크로폰 지지 방법 (1) 3·6 마이크로폰 지지 방법 마이크로폰(이하 마이크)을 실제로 사용할 때에는 어떠한 방법으로든 지지해야 한다. 지지 방법은 여러 가지를 생각할 수 있지만 크게 구별하여 다음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1) 마이크 스탠드로 지지하는 방법 이른바 카메라의 스탠드 모양으로 된 것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마이크의 경우 다시 다음 세가지로 나뉜다. 데스크 스탠드(탁상형) : 이것은 책상 위에 직접 놓고 사용하는 것으로서, 주로 인성, 즉 아나운서, 대담, 당연 등에 사용된다. 의자에 앉아서 말하는 경우 입 높이에 적합한 낮은 것과 서서 말하는 경우에 적합한 높은 것 2종류가 있는데, 전자는 방송에, 후자는 홀에서의 강연회 등에 사용된다. 또한 수직 지지관은 플렉시블 축으로 되어 있어 음원 방향으로 직접 향하게.. 2022. 8. 17.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5 마이크로폰 커넥터 3·5 마이크로폰 커넥터 마이크로폰(이하 마이크) 커넥터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모두 규격이 정해져 있다. 일반 아마추어용에는 불평형형도 있는데, 불평형형의 경우 미니 플러그, 싱글 폰 플러그 등이 사용된다. 2개의 캡슐을 조합한 복합 스테레오 마이크에는 더블 폰 플러그가 사용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커넥터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지만 보통 원형, 각형, 동축, 프린트 기판용 등 4종류로 분류된다. 커넥터는 보통 2개의 부분을 조합해서 사용하는데 케이블에 접하는 부분과 기구에 접속하는 부분으로 크게 구별할 수 있다. 마이크 커넥터에는 원래 몇 가지가 사용되어 왔지만 현재는 주로 원형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캐논 커넥터는 접속 핀이 나와 있는 쪽을 수영, 핀을 받는 쪽을 암형이라고 부르는데 마이크 출력 .. 2022. 8. 16.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4 마이크로폰의 출력 3·4 마이크로폰의 출력 (1) 출력 레벨 마이크로폰(이하 마이크)의 출력 레벨은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콘덴서 타입과 같이 마이크 본체에 앰프를 내장하고 있는 것은 얼마든지 그 레벨을 올릴 수가 있기 때문에 -50~-60dBm과 같이 비교적 높은 것이 많다. 이에 비해 벨로시티 타입은 -70~-60dBm으로 비교적 낮은 값이다. 또한 무빙 코일 타입은 이 양자의 거의 중간값을 나타낸다고 보면 된다. 여하튼 이들 마이크 출력을 믹싱 하여 조정하려면 볼륨 컨트롤의 눈금 위치가 대략 같은 곳에 있도록 하는 것이 좋고 패드를 삽입하여 SN비등을 가미한 후 정합할 필요가 있다. 물론 이것은 단순히 마이크의 전기적 출력 레벨만이 아니라 음원 자체의 발음 레벨, 음원과 마이크로폰과의 거리에 따라서도 달라지는 것이다.. 2022. 8. 14.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3 마이크로폰의 부가 장치 3·3 마이크로폰의 부가 장치 고급 마이크로폰(이하 마이크)나 정교하게 설계된 마이크 자체에는 여러 가지 컨트롤이 부가되어 있다. (1) 저음 컷(Low cut) 스위치 이것은 주파수 특성상 저음역을 감쇠시키는 것으로서, 전환 표시로 M, V 등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M은 Music, 즉 음악 녹음 시에 저음역을 플랫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고 V는 Voice, 즉 인성을 수음할 때 적합한 스위치 포지션이다. 이 M과 V는 그 감쇠량에 대응해 M1, M2, V1, V2 등 몇 가지 세밀한 단계로 나눈 것도 있다. 인성의 경우는 저음역을 감소시키는 편이 명료도를 높이기에 좋지만, 여자 음성에는 저음역이 그다지 필요하지 않다. 또한 아나운스나 대사류, 회화 등은 음원이 레벨이 극단적으로 낮다. 이때 홀이나 .. 2022. 8. 13.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2 마이크로폰의 종류와 특성 (3~4) 3·2 마이크로폰의 종류와 특성 (3) 그 밖의 마이크로폰(이하 마이크) 현재 전문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마이크의 주류는 이상과 같이 무빙 코일 타입과 콘덴서 타입이지만 그밖에 벨로시티 타입 마이크가 있다. 벨로시티 타입 마이크는 가는 리본 형상의 금속 조각이 진동하기 때문에 리본 마이크로폰이라고도 불려지고 있다. 상당히 섬세한 마이크로폰으로서 진동을 주거나 난폭하게 취급하면 주름 형상으로 부착되어 있는 알루미늄제의 리본이 늘어져 특성이 나빠지는 수도 있으므로 취급에 주의해야 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강력한 영구 자석이 사용되고 있어 무거워지고 누설 자속의 양도 많다. 감도가 낮다는 것도 결점이지만 음질은 독특하다. 주파수 특성은 특별히 좋다고는 할 수 없지만 소리에 따뜻함이 묻어나며, 특히 아나운서의 인.. 2022. 8.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