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8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2 마이크로폰의 종류와 특성 (1~2) 3·2 마이크로폰의 종류와 특성 마이크로폰(이하 마이크)은 소리의 진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일정의 트랜스듀서(Transducer)이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마이크에는 다음과 같은 두 종류가 있다. (1) 무빙 코일(Moving coil) 타입 일명, 다이내믹(Dynamic) 마이크라고도 불리는데, 자계(磁界) 내에서 진동하는 코일의 작동으로 전기 에너지를 유기시키는 것이다. 원리상으로 보면 거의 다이나믹 스피커와 반대로 에너지 변환을 한다. 장점은 튼튼하고 동작이 상당히 안정되어 있다는 것이다. 또한 마이크 자체에 발전기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원도 필요 없고 그대로 연결하기만 하면 동작하여 취급도 간단하며, 기동성이 좋고 비교적 값싸게 제조할 수 있다는 점 등이 다른 마이크.. 2022. 8. 12. [3] 마이크로폰과 그 사용법 / 3·1 중계·녹음기기의 개요 3·1 중계·녹음기기의 개요 방송 프로를 중계하거나 녹음하여 극장 음향을 서비스하는 경우에는 여러 가지 기자재가 필요하다. 그리고 2·1절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이들 믹싱 컨트롤의 프로세스와 작업은 음원에서 발생한 소리의 진동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고 또 목적에 따라 다른 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 중계·녹음기기는 마이크로폰(이하 마이크), 컨트롤 시스템, 목적대상 기기의 세 가지로 구성된다. 마이크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소리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중계·녹음에 있어서 에너지 변환의 출발점이다. 따라서, 이 제1변환의 결과가 뒤의 프로세스 전체 흐름에 영향을 주는 것이므로 대단히 중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컨트롤 시스템은 마이크에 의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된 것을 컨트롤하.. 2022. 8. 12. [2] 수음과 녹음의 기초 / 2·3 스테레오 수음에서 재생까지 2·3 스테레오 수음에서 재생까지 사람은 보통 소리를 들을 때나 물체를 볼 때 좌우 한 쌍의 귀와 눈을 사용한다. 2개가 한 쌍인 감각 기관을 동시에 작동시킴으로써 1개로 보거나 듣는 것 이상의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입체적으로도 지각할 수 있는 것이다. 전기 음향에 의한 전송계에 있어서도 1채널에 의한 방법과 2채널을 한 쌍으로 한 방법 그리고 2개 이상의 채널을 동시에 이용하여 사용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다. (1) 헤드폰 청취와 스피커 청취 헤드폰 청취는 직접 청취자의 귀에 발음체를 대고 듣는 방법으로서 발음체에서 청취자의 귀 고막까지의 공간이 귀의 외이(外耳)에 국한된다. 한편, 스피커 시스템으로 청취하는 경우 외이(外耳) 공간뿐만 아니라 귀에서 스피커 시스템까지의 공간도 이용되.. 2022. 8. 10. [2] 수음과 녹음의 기초 / 2·2 음원과 음장 (7) 2·2 음원과 음장 (7) 음장으로서의 야외 공간 야외 공간은 여러 가지 경우를 생각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반사면이 적은 자유 공간을 택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잔향이 극도로 적은 무향실과 같은 조건에 가까워진다. 특히, 구름 한 점 없는 아주 맑게 개인 하늘처럼 무한대인 경우 이러한 경향이 강하다. 야외 공간은 아무래도 자연 형상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게 된다. 예를 들면, 많건 적건 항상 바람이 불고 있어 바람 때문에 소리가 흐르게 되는 일이 있으며, 이것이 마이크로폰에 직접 부딪히면 잡음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속도형의 리본 타입 마이크로폰은 거의 사용이 불가능하고 콘덴서 타입의 마이크로폰도 설계에 따라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온도, 습도 등 기상 조건에 관련된 예를 들면, 여름에 강한 태.. 2022. 8. 10. [2] 수음과 녹음의 기초 / 2·2 음원과 음장 (6) 2·2 음원과 음장 (6) 콘서트 홀(Concert Hall) 콘서트 홀은 사운드 믹싱을 하기에 가장 적합한 회장이라고 할 수 있으며, 주로 클래식 음악 연주를 위해 설계/시공된 회장이다. 역사상 콘서트 홀의 기원은 유럽의 궁정 극장이나 고딕 사원, 바로크 교회에 있다고 하지만 본격적인 콘서트 홀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독일 라이프치히에 있는 게반트 하우스라고 전해진다. 그밖에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대표적 콘서트 홀로는 19세기 후반에 건설된 빈의 뮤직 페라인잘, 암스테르담의 콘셀트헤보우 홀, 미국 보스턴의 보스턴 심포니 홀 등을 들 수 있다. 일본의 경우, 본격적으로 콘서트 라이브 홀이라는 이름으로 건설된 것은 1982년 오사카에 건설된 더 심포니 홀이다. 계속해서 일본에서는 1986년 산토리 홀, .. 2022. 8. 9. [2] 수음과 녹음의 기초 / 2·2 음원과 음장 (3~5) 2·2 음원과 음장 (3) 극장 공간(Theater space) 녹음할 때에는 전용 녹음 스튜디오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클래식 음악과 같이 콘서트 홀에서 연주하는 것을 목표로 만들어진 작품이나 극장용 음악 등은 음향을 고려하면 넓은 무대와 큰 공간을 가진 장내에서 녹음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러우며 좋은 결과 또한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녹음 설비가 완비되어 있지 않더라도 클래식 음악을 녹음할 때에는 극장, 콘서트 홀, 교회 등을 사용해도 된다. 이렇듯 클래식 음악과 같이 어쿠스틱 악기를 사용하여 연주하는 음악은 소리 내는 방법이나 연주 자체가 넓은 공간과 적당한 잔향음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공간이 작고 울림이 적은 녹음 스튜디오에서는 연주 자체에 좋은 결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대중.. 2022. 8. 9. [2] 수음과 녹음의 기초 / 2·2 음원과 음장 (1~2) 2·2 음원과 음장 소리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화하는 수음에 있어서는 다음 세 가지 조건, 즉 (1) 음원, (2) 음장 (3) 수음에 대해 생각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음악 프로그램을 수음하는 경우, 우선 악기에 따른 음원이 필요하다. 그리고 음원의 음이라는 것은 그것을 둘러싼 음장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즉 음원이 있고 그것을 둘러싼 공간이 있어야 비로소 수음을 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세트업이 시작되는 것이다. 이러한 생각 없이 마이크로폰을 그냥 세트 하면 좋은 녹음이나 소리가 좋은 중계를 할 수 없게 되므로, 보다 좋은 수음을 하기 위해, 우선 음원의 성질이나 공간의 조건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 (1) 음원이란 수음하는 입장에서 보면 음원은 다음 세 가지로 분류된다. / (1) 음악소리, (2) .. 2022. 8. 7. [2] 수음과 녹음의 기초 / 2·1 수음이란 2·1 수음이란 소리를 녹음하거나 중계한다는 것은 소리 에너지를 다른 에너지 형태로 변환하여 기록(녹음)하거나 전달(중계)하는 것이다. 이 에너지 변환은 현재의 시스템에서는 일단 필수라고 해도 될 만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즉, 전기 음향의 형태로 취급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기 취입 이전의 레코드 녹음은 소리 에너지를 직접 레코드 면의 음구에 기계 진동 에너지로 기록하였다. 또한 어린이 놀이의 일종인 실을 이용한 전화놀이는 소리의 진동을 진동판이나 실의 진동으로 바꿔서 전송하는 것으로서, 이것에는 전기 에너지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전기 에너지를 수단으로 사용하는 경우, 소리의 진동을 우선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이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폰이다. 그리고 반대로 전기 에너지를 .. 2022. 8. 7.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